삼성중공업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조선업체 중 하나로, 국내외 조선 및 해양 플랜트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 주가 정보 (2024년 12월기준)
항목 | 값 | 비고 |
---|---|---|
종가 | 10,630원 | 전일 대비 240원 하락 |
거래량 | 5,739,815주 | |
52주 최고가 | 12,030원 | |
52주 최저가 | 7,050원 | |
거래대금 | 약 609억 원 | |
1개월 수익률 | +7.16% | |
3개월 수익률 | +10.61% | |
6개월 수익률 | +14.67% | |
1년 수익률 | +33.21% | 우상향 곡선 |
외국인 보유 비중 | 33.60% | |
시가총액 | 약 9조 3,544억 원 | 보통주 기준 |
발행주식수 | 보통주 8억 8천만 주, 우선주 11만 4,845주 | |
유동 주식수 | 약 6억 6,631만 9,406주 | |
유동 비율 | 75.72% | |
1년 베타값 | 0.84891 | 안정적인 흐름 |
삼성중공업 기업 주식 하이라이트
Financial Highlight (단위: 억원, %, 배, 천주)
구분 | 2021/12 | 2022/12 | 2023/12 | 2024/12(E) |
---|---|---|---|---|
매출액 | 66,220 | 59,447 | 80,094 | 99,422 |
영업이익 | -13,120 | -8,544 | 2,333 | 4,747 |
당기순이익 | -14,521 | -6,274 | -1,556 | 2,680 |
지배주주순이익 | -14,451 | -6,194 | -1,483 | 2,715 |
비지배주주순이익 | -70 | -80 | -73 | – |
자산총계 | 121,386 | 144,917 | 155,934 | 167,089 |
부채총계 | 80,413 | 109,198 | 121,842 | 127,874 |
자본총계 | 40,973 | 35,719 | 34,092 | 39,215 |
지배주주지분 | 41,110 | 35,945 | 34,393 | 39,467 |
비지배주주지분 | -138 | -226 | -301 | -252 |
자본금 | 8,801 | 8,801 | 8,801 | 8,800 |
부채비율 | 196.26 | 305.71 | 357.39 | 326.09 |
영업이익률(%) | -19.81 | -14.37 | 2.91 | 4.77 |
지배주주순이익률(%) | -21.82 | -10.42 | -1.85 | 2.73 |
ROA(%) | -11.59 | -4.71 | -1.03 | 1.66 |
ROE(%) | -36.89 | -16.08 | -4.22 | 7.35 |
EPS(원) | -2,097 | -704 | -168 | 308 |
BPS(원) | 5,773 | 5,187 | 5,010 | 5,587 |
DPS(원) | – | – | – | – |
PER(배) | N/A | N/A | N/A | 34.46 |
PBR(배) | 0.98 | 0.99 | 1.55 | 1.90 |
발행주식수(천주) | 880,000 | 880,000 | 880,000 | – |
- 삼성중공업은 2024년 매출액 9조 9,422억 원, 영업이익 4,747억 원, 당기순이익 2,680억 원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순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은 각각 2.73%와 4.77%를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 부채비율은 2024년 예상치로 326.09%로 다소 높은 편이나, ROE는 7.35%로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발행 주식수는 8억 8천만 주로 유지되며, PBR은 1.90배로 평가됩니다.
삼성중공업 2025년 주가 전망
2025년 삼성중공업의 주가는 조선업계의 호황 지속 여부와 친환경 기술 개발, 글로벌 수주 잔고 상황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보입니다.
긍정적 전망 요소
- 수주잔고 확대: LNG 운반선, VLCC, 그리고 암모니아 및 메탄올 추진 선박 등 차세대 선박 수주가 증가하며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
- 해양 플랜트 시장 회복: 국제 유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해양 플랜트 수요 증가.
-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IMO(국제해사기구)의 환경 규제로 인해 친환경 선박 발주가 확대될 가능성.
- 디지털 조선소 도입: 스마트 조선소 구축으로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기대.
부정적 전망 요소
- 글로벌 경기 둔화: 주요국의 금리 인상 및 경기 침체 우려가 조선업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
- 원자재 가격 변동성: 조선소 운영에 필요한 강재 가격 변동이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환율 리스크: 조선업은 해외 거래가 많아 환율 변동에 민감.
종합 전망
DS투자증권은 삼성중공업이 2026년 매출 12조 8천억 원, 영업이익 1조 3천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LNG선 20척, FLNG 2기 등 대규모 수주를 기반으로 한 예상입니다. 특히 LNG선 부문에서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삼성중공업은 올해 수주 목표를 초과 달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확보한 수주액이 49억 달러에 달하며, 추가적인 LNG선 옵션 계약과 컨테이너선, FLNG 수주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DS투자증권은 삼성중공업의 견고한 수주 전망을 바탕으로 투자 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1만 2천 원으로 제시했습니다.
결론
삼성중공업은 조선업과 해양 플랜트 산업에서 세계적 위상을 가진 기업으로, ESG 경영과 친환경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2024년 주가는 조선업 호황과 대규모 수주에 힘입어 안정적인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2025년에도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합니다.
투자자들은 글로벌 경기 동향, 조선업 트렌드, 그리고 삼성중공업의 실적 발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신중히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